
실수로 잘못 보낸 돈, 공식 절차로 되찾을 수 있습니다. 이 글은 착오송금반환을 처음 접하는 분을 위해, 착오송금 반환지원제도의 자격·신청절차·서류와 착오송금 반환지원 사이트(금융안심포털·KMRS)를 빠르게 따라 할 수 있는 순서로 정리했습니다. 은행/간편송금앱에 요청 → 예금보험공사 온라인 접수 → 자진반환 권유 → 미반환 시 지급명령 순으로 진행됩니다.
착오송금 반환지원제도: 개념과 범위
예금보험공사(KDIC)가 송금인의 신청을 받아 잘못 보낸 금액 회수를 돕는 제도입니다. 먼저 금융회사(또는 간편송금업체)에 반환을 요청했지만 실패한 경우에 한해, KDIC가 부당이득반환채권을 매입해 자진반환 권유 → 지급명령 절차로 회수를 시도합니다.
지원금액
건당 5만~1억원
신청기한
송금일로부터 1년 이내
적용시점
2021-07-06 이후 착오송금
선행조건
은행/앱 반환요청 후 미반환
착오송금 반환지원 사이트 안내
온라인 접수는 두 경로 중 하나를 사용합니다. PC 접수가 가장 수월하며, 본인확인 후 신청서를 작성합니다.
- 금융안심포털(통합) –
fins.kdic.or.kr
- 착오송금 반환지원정보시스템(전용, KMRS) –
kmrs.kdic.or.kr
착오송금 반환신청: 30분 완성 플로우
- 착오 기록 정리 – 언제·얼마·어떤 경로로 잘못 보냈는지 간단 메모, 이체확인증 스크린샷 준비
- 선행 요청 – 은행/간편송금앱 고객센터에 반환요청 접수(전화/앱/방문 중 2개 이상 흔적 남기기)
- 온라인 신청 – 금융안심포털 또는 KMRS 접속 → 본인확인 → 거래정보·사유·증빙 입력/첨부
- 진행 알림 확인 – 자진반환 권유 결과 및 지급명령 전환 여부를 문자/메일로 확인
- 회수·지급 – 회수 성공 시 회수액에서 비용 차감 후 송금인 계좌로 지급
착오송금 반환지원제도 신청 체크리스트
- 금액: 5만~1억원 범위인가?
- 기한: 송금 후 1년 이내인가?
- 은행/앱에 반환요청을 먼저 했는가?
- 증빙: 신분증·이체확인증 및 문의 기록을 갖췄는가?
착오송금 반환지원: 자주 묻는 질문
착오송금 반환지원정보시스템(KMRS)과 금융안심포털 차이는?
둘 다 예금보험공사 공식 온라인 접수 채널입니다. 금융안심포털은 통합 포털, KMRS는 착오송금 전용 창구로 생각하면 됩니다.
비용은 언제 내나요?
회수 성공 시 회수액에서 관련 비용을 공제하고 지급하는 구조라, 선납하는 형태가 아닙니다. 금액·단계별 비용률은 접수 과정에서 안내됩니다.
모바일로도 되나요?
PC가 가장 안정적입니다. 급할 땐 모바일로도 접수 가능하지만, 파일 업로드·입력은 PC가 수월합니다.
착오송금반환지원상담센터 연락처는?
1588-0037 (예금보험공사 1층 고객도우미실). 주소: 서울시 중구 청계천로 30. 방문 접수도 가능합니다.
착오송금 반환청구: 제도 대상이 아니면?
금액이 5만원 미만이거나 1억원 초과, 또는 1년이 지난 경우 등은 제도 대상 외일 수 있습니다. 이때는 금융회사 안내에 따라 별도 절차를 검토하세요. (민사소송은 본문에서 상세히 다루지 않습니다)
예금 보험공사 착오송금 반환: 바로 신청하기
요약 — 은행/앱 반환요청을 먼저 하고, 1년 내5만~1억원 범위면 착오송금 반환지원제도 신청으로 회수 절차를 개시하세요. 자진반환이 불발되면 지급명령으로 이어지고, 회수 성공 시 비용이 차감되어 지급됩니다.
※ 본 글은 일반 정보 제공용입니다. 실제 진행은 예금보험공사·금융회사 안내를 따르세요.